CKWP도서관

구술로 본 북한여성의 삶 구술로 본 북한 여성의 삶 Ⅵ : 격동하는 시간 위에 서 있는 20대의 자화상

페이지 정보

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 23-12-29 14:06

본문

목  차


가난한 청년 엘리트의 고뇌 / 13

  ⦁ 출신성분은 바뀌지 않는다 14

  ⦁ 국가일을 하는 남자, 부양일을 하는 여자 14

  ⦁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것, 공부 16

  ⦁ 대학에서도 나를 따라다닌 가난 17

  ⦁ 가난한 자의 취미생활 19

  ⦁ 주도권이 없는 내 삶 19

  ⦁ 생활이 된 정치 활동 20

  ⦁ 답은 정해져 있어, 넌 따라오기만 해 22

  ⦁ 평양사람들만 볼 수 있는 만수대 채널 24

  ⦁ 북한의 변화, 전자제품으로 읽다 24

  ⦁ 컬러TV로 흑백 영화를 보는 나라 26

  ⦁ 갑작스러웠던 나의 탈북 26

  ⦁ 가장 가깝고도 먼 나라 27

  ⦁ 충격이 없이는 변화하기 힘든 북한 사회 28


북한을 떠날 수밖에 없었던 이유 / 31

  ⦁ 가족도 멀어지게 만든 가난 32

  ⦁ 무기력한 학교 34

  ⦁ 첫 번째 장마당  35

  ⦁ 탈북을 결심한 이유 37

  ⦁ 일반 교화소에 들어가다  37

  ⦁ 수령에게 충성 39

  ⦁ 잦은 공사, 바뀐 분위기 41

  ⦁ 이해할 수 없는 북한의 8.3 42

  ⦁ 두 번째 장마당 43

  ⦁ 사회변화로 달라진 남녀역할 44

  ⦁ 탈북자에게 붙는 집요한 감시 45

  ⦁ 결혼과 출산 45

  ⦁ 마약 때문에 다시 탈북하다 46

  ⦁ 두 번의 탈북으로 느낀 것 48


아웃사이더의 눈으로 본 북한 / 49 

  ⦁ 반역이 되어 돌아온 선의 50

  ⦁ 원칙주의 아빠, 실용주의 엄마 50 

  ⦁ 죽을 때까지 바꿀 수 없는 꼬리표 51

  ⦁ 일찍 어른이 된 아이 52

  ⦁ ‘입당’만 믿고 자원한 돌격대 53

  ⦁ 방랑하며 살았던 북의 삶 54

  ⦁ 노동 착취의 현장 55

  ⦁ 인권이 없는 여성들 57

  ⦁ 사람보다 돈의 가치가 중한 곳 59

  ⦁ 살려면 뭐든 못할까 60

  ⦁ 누가 칼을 쥐는가에 따라 달라지는 결과 61

  ⦁ 김정은 집권에 대한 의견 62

  ⦁ 통일의 방법, 전쟁에 대한 생각 64

  ⦁ 북한이 앞으로 걸어갈 길 65


유학생이 되어 마주한 북한 / 67

  ⦁ 아버지와 어머니의 위치 68

  ⦁ ‘고난의 행군’을 이기려는 방법 69

  ⦁ 제1고등학교의 특권 70

  ⦁ 꿈꿔왔던 K대학교 생활 70

  ⦁ 생각지도 않게 찾아온 유학 72

  ⦁ 유학 중에도 계속된 생활총화 73

  ⦁ 한국드라마 삼매경 74

  ⦁ 유학하면서 느낀 북한 체제 75

  ⦁ 북한 체제를 이야기하다 76

  ⦁ 체제에 반하는 모든 정보를 차단하라 78 

  ⦁ 북한 사람이 생각하는 김씨 3대 78 

  ⦁ ‘핵’의 존재감 80 

  ⦁ 화폐개혁에 대한 인민의 실망 81 

  ⦁ 주체사상에 대한 생각 82 

  ⦁ 단어만 남은‘평등’  83


극심한 빈부격차 속 북한의 오늘 / 85

  ⦁ 화목한 가족 86

  ⦁ 빈부를 나누는 ‘스마트폰’ 86

  ⦁ 북한에서의 여가생활 87

  ⦁ 학생에게도 예외 없는 노동 89

  ⦁ 돈으로 좌우되는 교실 90

  ⦁ 예술학교의 기억 91

  ⦁ ‘지성의 요람’대학에도 횡행하는 뇌물 92

  ⦁ 공부보다 더 중요한 생활총화 93

  ⦁ 국가를 향한 믿음을 앗아간 화폐 개혁 95

  ⦁ 직업을 가지려는 이유 96 

  ⦁ 모두가 생계에 뛰어들다 97

  ⦁ 빈부 차이가 만든 신종직업 99

  ⦁ 김정은 집권을 바라보다 100 

  ⦁ 오늘에 맞는 주체사상이 필요해 101


억압과 통제의 나라 / 103

  ⦁ 어머니 목소리를 들은 죄 104

  ⦁ 교화소에 간 아버지, 탈북한 어머니 104

  ⦁ 추방지에서 나오다 105

  ⦁ 밀수뿐인 선택지 106

  ⦁ 물가가 요동치던 화폐 개혁 107

  ⦁ 무료했던 북한의 생활 109

  ⦁ 즐겨본 일상 속 문화상품들 109

  ⦁ 쉽게 털어놓을 수 없는 고민 111

  ⦁ 조금씩 변화하는 북한 111

  ⦁ 여자가 살기 힘든 나라 112

  ⦁ 소박해도 행복하게 113

  ⦁ 김정은이 집권하다 114

  ⦁ 사람들을 옥죄고 통제하는 곳 115

  ⦁ 한국에서 느껴보는 자유 116


극심한 불평등의 나라 북한 / 117 

  ⦁ 점점 살기 어려운 내 나라 118

  ⦁ 돈을 벌기 위해 시작한 돌격대 생활 118

  ⦁ 더욱 심해지는 지역 간 불평등 119

  ⦁ 김정일의 고향이 받는 특혜 120

  ⦁ 돌격대를 통해 만난 아내 121

  ⦁ 차라리 단련대 122

  ⦁ 8.3이 무너뜨린 조직 생활 123

  ⦁ 내가 겪은 배급의 변화 124

  ⦁ 나라의 영웅 김일성, 나라의 수호자 김정일 124

  ⦁ 나라치장에 바쁜 김정은 125

  ⦁ ‘차라리 전쟁’을 원하는 사람들 126

  ⦁ 극심한 빈부격차에 사라진 도덕심 127

  ⦁ 판결도 바꾸는 돈의 힘 128

  ⦁ 살아 버티기 힘든 곳 129

  ⦁ 남한에서의 생활 130

  ⦁ 탈북보다 영화가 더 나빠 131

  ⦁ 심각한 북한의 마약 문제 132

  ⦁ 북한이 가진 마지막 힘 133


북한 청소년의 이모저모 / 135 

  ⦁ 내가 살던 곳 136

  ⦁ 맛있었던 길거리의 인조고기밥 137

  ⦁ 북한 사람들이 찾는 쇼핑 장소 138

  ⦁ 규칙적이고, 평범한 일과 139

  ⦁ 북한 학생이라고 다르지 않아 140

  ⦁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핵무기 141

  ⦁ 비싼 만큼 누릴 게 많다 141

  ⦁ 북한에서 읽는 미국소설 142

  ⦁ 북한 사람들이 좋아하는 콘텐츠 143

  ⦁ 영화 때문에 벌어진 잊지 못할 사건 144

  ⦁ 내가 북한에서 배운 것 146

  ⦁ 한국과는 다른 북한의 시험 147

  ⦁ 북한 청소년들의 대학 진학 148

  ⦁ 출신 성분에 발목이 잡힌 꿈 149

  ⦁ 비슷하면서도 다른 두 나라 150


우물 안 개구리 탈출하다 / 169

  ⦁ 가장의 짐을 지다 154

  ⦁ 작은 바닷가 마을 154 

  ⦁ 반복되는 학교의 일상 155 

  ⦁ 학교에 나오지 않는 아이들 156 

  ⦁ 뭔가 어설픈 컴퓨터 수업 167 

  ⦁ 놀고 즐기지 못한 학창 시절 158  

  ⦁ 부모의 응원마저 받지 못한 꿈 158 

  ⦁ 꿈 대신 돈을 쫓는 아이들 159 

  ⦁ 건설 회사에 취직하다 160 

  ⦁ 10살 위 남자와 선을 보다 161


청년의 눈으로 본 북한의 오늘 / 171 

  ⦁ 탈북이 해피엔딩은 아냐 172

  ⦁ 모든 것을 단속하고 검열하는 곳 172

  ⦁ 빈부격차로 불안정한 사회 173

  ⦁ 눈에 보이는 생활의 변화 174 

  ⦁ 내 친구의 소비 175 

  ⦁ 나의 학교생활 176 

  ⦁ 체육대 학생이 되다 177 

  ⦁ 불안한 미래 179 

  ⦁ 자영업 하는 여자, ‘만능열쇠’가 된 남자 180

  ⦁ 순응할 수밖에 없지만 참기 힘든 사회 181 

  ⦁ 한국 드라마를 보는 북한 청년들 182 

  ⦁ 변하지 않는 일상 183

첨부파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