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 |
북한&젠더 2023-20 사회불평등과 여성의 역할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19 |
북한&젠더 2023-19 강제북송과정에서의 여성폭력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18 |
북한&젠더 2023-18 '김주애'라는 기호읽기: 혈연, 감정노동, 회의의 서사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17 |
북한&젠더 2023-17 여성이 주도하는 북한의 사경제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16 |
북한&젠더 2023-16 여성과학자의 정치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15 |
북한&젠더 2023-15 북한 예술단체들의 등장과 사라짐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14 |
북한&젠더 2023-14 북한 음악정치를 잇는 김정은 시대 대공연정치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13 |
북한&젠더 2023-13 3대에 걸친 대공연의 서사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12 |
북한&젠더 2023-12 북한이탈주민의 시각으로 본 북한 대공연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11 |
북한&젠더 2023-11 북한 대공연 관객의 시선: 스마트폰을 통한 축제 경험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10 |
북한&젠더 2023-10 북한의 신흥자본가 돈주의 역할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9 |
북한&젠더 2023-09 돈주의 투자가 경제개혁을 성공시킬까?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8 |
북한&젠더 2023-08 김정은 정권의 경제개혁이 노동 양극화를 극복할 수 있을까?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7 |
북한&젠더 2023-07 김정은 시대 지식경제강국의 전략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
6 |
북한&젠더 2023-06 김정은 시대 북한의 금융제도 개혁
|
한국여성정치연구소 |